제39회〈김수영 문학상〉 수상 시집

그 웃음이 나도 좋아

제39회〈김수영 문학상〉 수상 시집 1

아픈 과거를 직시하는 웃음 없는 얼굴, 정확한 눈물을 통과한 끝에 건네주는 충분한 안녕

제39회 〈김수영문학상〉수상 시집 ‘그 웃음이 나도 좋아’가 민음의 시 279번으로 출간됐다. 수상과 함께 독자들에게 처음 이름을 알렸던 시인 이귀리는 첫 시집에서 담담하면서도 물러서지 않는 시선으로 과거의 상처를 되새기며 당시의 희미하게 떠오른 감정에 형체를 부여한다. 그리고 마침내 사라진 것과 다가오는 것을 향해 아프지 않은 인사를 한다. 그 웃음을 나도 좋아라는 제목과 달리 시집 초반 시부터 두드러지는 것은 웃음을 금치 못하는 어린 화자의 상황이다. 시인은 자신을 향한 교실 안의 폭력과 차가운 현실을 한없이 구체적인 묘사로 그려낸다. 지워버릴지도 모르는 장면을 끝까지 눈을 뜨고 지켜보며 소중한 것이 사라진 자리에 남아 상처 자국을 오래 바라본다. 4부 시 제목인 괜찮아요 더 좋은 모습으로 만나요라는 인사는 이 소극의 결과다. ‘마주할 용기가 가장 어렵고 필요한'(유계영) 지금 이 길리가 그리는 풍경은 가장 어려운 일을 이룬 그 지점으로 독자를 데려간다.

그 웃음이 나도 좋아

반 아이들의 시선은 허공에 매달린 내 몸을 향한 어느새 교실 문 너머에 모인 친구들이 입을 가리고 낄낄거리던 보이지 않는 입가가 나를 천장까지 끌어당기는 기분이 어때? 재밌지? 재밌지?- ‘꾸깃꾸깃한 교실’에서

그 웃음을 나도 좋아한다는 말은 당신 웃음을 나도 좋아한다는 동조라고 할 수도 있지만 갖지 않은 그 웃음에 대한 부러움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키리의 시에 있어서의 「그 웃음」은, 마치 「당신들의 천국」과 같이 나로서는 가질 수 없는 그 무엇이다. ◆시속의 화자는 학교폭력의 피해자다. 교실에서부터 복도, 화장실까지 괴롭힘이 따라다니는 가운데 잔인하게 치켜 올라간 아이들의 입꼬리는 나를 천장까지 끌어당기는 기분이다.

그런 화자에게도 「너」라고 부를 수 있는 누군가가 있다. 빈 교실에 함께 남아 있는 너, 나에게 무슨 이야기를 적어 전하는 너, 함께하는 시간을 계속하고 싶은 너. 하지만 너의 웃음은 모른 채 남아서 난 아직 네가 듣고 싶은 말을 할 수가 없어. 차마 웃을 수 없는 자신의 낯선 표정을 감추기 위해 서랍을 열자 그 안에는 이미 숨겨둔 정체(싱크로율)가 가득하다. 여기리의 화자는 웃는 대신 구름을 보면서 “비 맞는 표정”을 짓는다. 붉어진 저녁 하늘을 보면서 이제 다른 행성의 노래를 들어도 되겠지 하는 생각이 든다.충분한 안녕

손목을 심장 가까이 구부리고 아이들을 향해 원반을 던지는 긴 곡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원반은 빛의 뿔을 감싸 안아 아프지 않게 된다-‘충분한 안녕’으로

같은 웃음을 짓지 못해서인지 이 기리의 시에서 화자는 잘 혼자 남아 있다. 빈 방에 잠긴 채 누워 있어 수많은 등장인물을 없애고(유리온실) 숲에 홀로 남기도 한다. 그 공간은 마치 유리온실처럼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현실에서도 화자가 보는 것은 누군가가 떠난 ‘구겨진 곳'(‘오로라’), 함께 있으면 입속에서는 ‘차갑고 딱딱한 것이 깨어나'(‘재회’)이 되고 마는 순간, ‘너와 떨어질수록 밝아진다'(‘빛’), 자기 자신이다.

하지만 혼자가 되어 더 정확한 눈물(번안곡)을 듣고 어쩔 수 없이 사라지는 것이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인 뒤에야 시인은 아프지 않은 모습(충분한 안녕)으로 인사를 할 수 있을 것 같다. 구겨진 얼룩 위에 조금 다른 모양을 만들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미 구김살을 펼 수 없으니 그것은 구겨지는 것과 같으며 언제나처럼 내 말을 완전히 건드리지는 못할 것이다. 그러나 그 사실을 뒷걸음질치며 시인이 전하는 인사는 그만큼 단단하고 따뜻한 것이다.추천글”

이 시집의 결정적 매력은 이상한 균형감에서 나온다. 정직하지도, 거칠지도, 섬세하지도, 약하지도 않은 정서에서 올라오는 말은 어둡지도 웃음을 잃지 않는, 밝지도, 슬픔을 놓지 않는 이상한 풍경 앞에 독자를 이끈다.”-김언(시인)

돌이킬 수 없는 과거를 회상하고, 「과거의 기억」과 「현재의 나」사이의 행간을 넓히고, 여전히 「진행중의 진실」을 마주하는 태도에 열렬한 응원을 보내고 싶다 지금, 우리에게는 마주할 용기가 가장 어렵고, 가장 필요하기 때문이다」–유계영(시인)

시집 한 권 분량의 원고를 끝까지 읽었을 때 이상하게도 이 사람을 변호하고 싶은 욕구를 느꼈다. 그가 그리는 시속화자는 세상에서 번번이 져 온 사람이라고. 세상에서 ‘납작해지기 위해’ 온 시간을 쓴 사람이래 깔끔한 모습은 아니지만 비범한 면이 있다고.

이키리

1994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추계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시집 ‘그 웃음이 나도 좋아’로 제39회 김수연문학상을 받았다.

●김수영문학상, 이란?시대의 거부로 이어진 자유와 격심한 양심의 시인 김수연을 기리기 위해 1981년…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