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닥터필름입니다 오늘은 밤하늘에 빛나는 별을 스마트폰으로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는 7가지 요령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별을 찍기 위해 필요한 사전 준비부터 촬영 방법까지 그 모든 것을 상세하게 알려드립니다.포스팅을 보기 전 | 참고사항 http://youtu.be/N0–fw1wWEc
스마트폰으로 별 사진을 잘 찍으려면 결국 스마트폰 수동모드, 즉 프로모드를 활용해야 합니다. 프로모드에 대한 상세하고 상세한 내용을 제가 이전에 제작한 프로모드의 사용법에 대한 영상을 통해 미리 알아가면 이해가 더 빠를 것입니다.
그리고 포스팅으로 표현하는 것에 대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스마트폰으로 별 사진을 자주 찍는 방법에 대한 영상 강의도 준비했습니다. 감성적인 음악과 영상미를 함께 즐겨보세요.1. 시정 좋은 날 떠나자 | 기상청 관측자료 활용

미세먼지와 구름이 많은 날에는 밤에 하늘에 떠 있는 별을 촬영하기가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촬영을 떠나기 전 기상청 홈페이지 관측 자료를 통해 해당 지역의 운량과 시정(Visibility)을 체크하셔야 합니다.

시정이란 대기의 혼탁 정도를 나타내는 기상 요소로 지표면에서 정상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이 목표를 식별할 수 있는 최대 거리로 정의됩니다.

Km 단위로 표시되지만 보통 20Km가 넘을 경우 밤하늘을 가득 채우는 아름다운 별빛을 그릴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2. 달빛을 피하는 방법 | 한국천문연구원 자료 활용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조리개 조절을 통해 밤하늘에서 가장 빛나는 달을 별과 함께 찍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마트폰 자동 모드로 밤하늘을 찍으면 달빛에 의해 별빛이 거의 가려지기 때문에 우리는 최대한 달빛이 약하거나 없는 시간에 별을 찍어야 합니다.

천문연 사이트에 가면 이런 달이 뜨는 시간과 형태를 날짜별로 파악할 수 있으니 촬영 계획을 세울 때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3. 광해를 피하는 방법 | 광해도 활용

어두운 밤을 밝게 비춰주는 도심의 불빛 때문에 광해 즉 빛공해가 많이 발생합니다. 이런 지역에서는 광해가 모든 별빛을 삼켜 버리기 때문에 제대로 된 촬영이 어려워집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글에서 “Lightpollution 맵”이라고 검색하면 나오는 광해 지도를 활용해야 합니다. 지도를 보면 한국의 도심 주변은 대부분의 빛에 의해 오염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강원도 산속에 들어가지 않는 한 어느 정도의 광해는 감수해야 하므로 최대한 빛에 의한 오염이 적은 적절한 지역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4. 아름다운 구도 설정 | 3분할선 활용

스마트폰 자동 모드에서 밤하늘에 빛나는 별을 그대로 찍으면 검은 바탕에 찍힌 하얀 작은 점처럼 표현됩니다.

그래서 스마트폰에서 높은 퀄리티의 별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수동 모드, 즉 프로 모드를 활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어두운 밤에 프로모드를 실행시키면 검은 화면만 나타나는데 이때 ISO를 최대한 높게, 셔터 스피드를 최소로 낮추면 다른 피사체의 형태가 나타나게 됩니다.

촬영시에 발생하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튼튼한 삼각대에 스마트폰으로 고정한 후, 주피사체를 3분할선이 겹치는 곳에 배치해 주세요.

그리고 하늘과의 경계를 3분할하의 수평선에 맞추면 안정되고 아름다운 구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5.적절한 노출 설정|ISO와 셔터 스피드 조절

광해가 전혀 없는 지역에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되는 경우는, 조리개 최대 개방, 15로부터 20초의 셔터 스피드, ISO를 800 이상이라고 하는 노출 설정의 추천치가 있습니다.

하지만 광해의 어떤 일반적인 상황에서 스마트폰으로 별을 찍을 때 앞서 말씀드린 세팅으로 촬영하면 과노출이 심한 사진의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주변 상황에 맞게 설정값을 달리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셔터 스피드를 15초 이상 설정하면, 움직이는 별의 잔상이 사진에 남습니다.

하지만 확대되지 않는 한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기 때문에 주변이 너무 어두울 경우 셔터 스피드를 충분히 느리게 설정해 별빛을 최대한 많이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ISO를 높이면 사진이 밝아지는데 너무 높으면 심한 노이즈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능한 ISO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정해 주세요. 상황에 맞는 적절한 노출 설정값은 정답이 없기 때문에 촬영하면서 직접 찾아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6. 적절한 초점 설정 | 수동 초점 활용

촬영 구도와 노출이 정해지면, 마지막에 적절한 초점을 설정해야 합니다. 주위가 너무 어둡기 때문에 자동 초점으로 사진을 찍으면 포커스가 크게 흔들립니다.

그래서 수동 초점으로 초점을 맞춰야 하는데 이것도 주변이 어두워서 적절한 설정값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일단 초점 게이지를 최대한 올린 무한대 초점부터 초점 게이지를 조금씩 낮추면서 촬영해 보세요.

멀리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무한 초점으로 게이지를 반 칸 정도 내리는 경우, 포커스가 적절히 맞는 일이 많습니다. 상황에 맞게 다양한 초점으로 최적의 포커스를 맞춰보세요.7. 감성적인 사진연출 | 별을 바라보는 시선과 색감

화이트 밸런스의 경우 3600K 정도로 설정하면 파란색으로 차갑게 빛나는 별빛을 통해 감성적인 느낌을 더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별을 바라보고 있는 인물을 프레임 안에 배치할 경우 조금 더 감성적인 느낌을 더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스마트폰으로 별사진을 찍는 방법|매는 방법

이미지 센서의 크기가 작은 스마트폰으로 별 사진을 찍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제가 알려드린 여러 설정 칩을 활용한다면 스마트폰에서도 아름답고 감성적인 별 사진을 찍을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의 일상이 스마트폰과 함께 더욱 아름다워지기를 기대하며! 오늘 강의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께 고품질의 감각적인 리뷰를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www.youtube.comwww.youtube.com/c/oosiwoo
닥터필름 유튜브 채널 스마트폰으로 아름다운 사진을 촬영하는 다양한 영상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