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라국제도시역에서 공항철도를 타고 김포공항역에 도착합니다.

김포공항역에서 하차한 후 서울 5호선 김포공항역으로 환승을 합니다.

공항철도 디자인으로 설치된 5호선 안내판. 하남연장이 반영되지 않은 안내판입니다.

서울 5호선 김포공항역 플랫폼으로 옮겼어요.

최근 모노레일 갤러리에서 5호선 김포공항역에 2000년.2001년경으로 추정된다
고전 노선도가 발견되었다고 하여 촬영차 방문하였습니다.
다행히 망설이지 않고 바로 한꺼번에 찾았어요.아마 전에 설치된 노선도 교체를 위해 들어간 것 같았습니다.

서울, 수도권 도시철도선도
어떤 점이 고전인지 하나씩 먹어볼게요.

우선 공항철도가 없습니다.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가 공사 중이라고 표현되는 걸 보면. 인천공항 개항 이전임을 알 수 있겠네요.

공항 철도가 없다.

그리고 추억의 인천교육대학교가 보입니다.
현재는 경인교대입구역인데요. 2003년 12월 15일 학교명 변경으로 경인교대입구역으로 바꾸었습니다.

그리고 당연하지만. 인천 2호선도 없어요.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도화역이 없습니다. 당시 공사 명칭인 쑥골역도 안 보이는 걸 보면… 그 이전이죠.
도화역은 2001년 11월 30일에 개업했으니까.. 그 이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송도국제도시공사 중 당시… 그리고 수인분 당선도 없습니다.

인천과 오이도.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지금은 수인 분당선이 이어져 편하게 가지만. 당시에는 버스를 두 번 정도 갈아타기도 하고. 안산에서 시외버스를 타야 했어요.

그리고 오이도-정왕-신길온천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4호선 안산~오이도가 2000년 7월 28일에 개통되었기 때문에 노선도 자체는 그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추억의 공단역 공단역은 현재의 초지역으로 2012년 6월 30일에 현재의 초지역으로 개명하였습니다.

그리고 1호선 수원 구간.. 병점. 천안 없음. 수원 종착 시대입니다.

추억의 부곡역 2004년 6월 25일 현재의 의왕역으로 역명이 교체되었습니다.

수리산역이나 단전역도 없습니다.
2003년 7월 18일에 수리산역, 2010년 1월 21일에 당정역이 각각 개통되었습니다.

이번에는 분당 쪽으로 넘어갔습니다.
야탑~서현 두 번째 역이 없습니다.이매역은 2004년 1월 16일 개통

오리 종착 그리고… 초림역과 백궁역이 보입니다.2002년 9월 25일 초림역은 수내역으로, 백궁역은 정자역으로 교체되었습니다.

강남으로 왔습니다.

분당선 수서종착시대.. 분당선 수서~선릉 구간은 2003년 9월 3일에 개통되었습니다.

3호선 수서 종착 시대3호선 수서~오금 연장은 2010년 2월 18일에 개통되었습니다.

그리고 구로 추억의 역명들.
가리봉 구로공단 시흥
구로공단은 2004년 10월 1일, 가리봉은 2005년 7월 1일 시흥역은 2008년 12월 29일,
각각 현재의 가산구로디지털단지 금천구청역으로 변경되었습니다.

3호선 일산 구간
현재는 광역전철이 운행되고 있는 경의중앙선이 당시 경의선이라는 명칭으로 서울-문산간 통근열차가 운행되고 있었습니다.

6호선 스섹에키
2009년 경의선 개통에 따라 역명이 현재의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바뀌었습니다.

개통 당시에는 광명역이었으나 2004년 4월 1일 일직동에 경부고속선 광명역이 생기면서 현재의 광명사거리역으로 역명을 변경한 tmqslek.

현재는 경의중앙선 운행 구간이지만
당시에는 용산-성북 간 1호선 지선계통이었던 용산~회기 구간

1호선 북쪽종점인..의정부북부역

당연하겠지만요.지난번에 개통한 진동선은 없네요.

당시에는 철도 노선이었던 경춘선과 중앙선 구간
추억의 인창역 신공덕역도 보이네요.

서울 도심 구간
추억의 동대문운동장 2009년 12월에 현재의 역명으로 바뀌었습니다.

성수-영답-신답-신설동
성수지선 용두역은 2005년 10월 20일에 신설되었습니다.

넓게 바라보는 인천권 노선도
지금은 공항철도. 7호선. 인천 2호선으로 꽉 차 있지만. 이때는 텅 비었네요.

9호선 빈자리가 크게 느껴지는 강서 구간

여기도 9호선이 없는 게 어색한 느낌이 들어요

강남구간.. 신분당선이 없습니다.

강북구간 우이 신설선 공석

당시에는 외곽순환고속도로 의정부 구간도 공사 중이었습니다.


영동고속도로 통합 전 명칭인 신갈-안산고속도로

용인시 수지읍..

그리고 경기도 광주군

당시의 노선도
1호선과 8호선까지 인천 1호선. 국철과 분당선이 끝에 있는 심플한 노선도입니다.

관광 안내소의 소개 당시에는 1호선이 국철이었기 때문에 철도청이라고 안내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만나본 2000년대 초반 고전노선도 현재의 노선과 비교하면 초라하지만 그때 당시에는 그때 나름의 로망이 있던 시절이라고 생각합니다.추억의 초저항 중저항이 강했던 시절. 당시 도토리라고 해서 4호선 오이도 연장분으로 들어온 놈들이 최신차였던 시절입니다.

어렸을때는 2000년대 노선도를 보면서 현재의 노선도를 보면서 꿈꿨는데.. 어느새 정말 미래에 와버린 느낌입니다.

이렇게 그리운 추억의 여행을 마치고 다시 2022년 여행을 시작하겠습니다!
이 출사는 2022년 03월 23일에 다녀왔습니다.


![[리뷰] 미역칼로리가 낮은 다이어트 메뉴 가양수산 강릉미역으로 다이어트하기 [리뷰] 미역칼로리가 낮은 다이어트 메뉴 가양수산 강릉미역으로 다이어트하기](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xNzAzMjFfMjYw/MDAxNDkwMDg1ODM5Njk3.T19rA_uJMVQFdCbdbv_Ya0ALH_Rf8Hk7ZB18JaYXeS0g.CPBvTlk23G86IDJh5XBV0FIF-wBeyy4AjkR-FY7ZK00g.JPEG.zzam6689/KakaoTalk_20170313_204154392.jpg?type=w800)